노이바이 국제공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국제공항으로, 1963년 푹옌 공군 기지로 건설되어 1978년 민간 공항으로 개항했다. 2014년 국제선 터미널을 확장하여 연간 1600만 명의 여객 처리가 가능해졌으며, 베트남 항공을 비롯한 여러 항공사의 허브 역할을 한다. 이 공항은 스카이트랙스(Skytrax)로부터 세계 최고 개선 공항으로 선정되었고, 일본 정부 개발 원조(ODA)를 통해 건설된 제2 터미널 건설 프로젝트로 JICA 회장상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하노이의 교통 - 롱비엔 대교
롱비엔 대교는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건설된 하노이의 철골 트러스 다리로, 전쟁 중 파괴와 복구를 거쳐 현재는 하노이의 랜드마크이자 문화적 상징으로 남아 기차, 오토바이, 자전거, 보행자만 이용 가능하다. - 1978년 개항한 공항 - 나리타 국제공항
나리타 국제공항은 지바현 나리타시에 위치한 일본의 주요 국제 관문으로, 하네다 국제공항의 국제선 기능을 이관받아 1978년 개항 후 민영화되어 지속적인 확장과 교통망 개선을 통해 운영되고 있다. - 1978년 개항한 공항 - 라로통가 국제공항
라로통가 국제공항은 쿡 제도의 관문 역할을 하는 라로통가섬 소재 국제공항으로, 오클랜드, 파페에테, 호놀룰루, 시드니 등 국제선과 쿡 제도 내 여러 섬을 잇는 국내선 노선을 운영하며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위험에 직면해 있다. - 하노이의 건축물 -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
소피텔 레전드 메트로폴 하노이는 1899년 건축 허가를 받아 1901년 개장한 베트남 하노이에 위치한 호텔로,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시작하여 베트남 전쟁과 사회주의 시대를 거쳐 소피텔 체인으로 소유권이 이전되었으며, 2019년 도널드 트럼프와 김정은의 정상회담 장소로 사용되었다. - 하노이의 건축물 -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
하노이 오페라 하우스는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파리의 가르니에 궁전을 모델로 건설된 신고전주의 양식의 건축물로, 현재 베트남 국립 오페라 발레단의 주요 공연장이자 하노이의 랜드마크이다.
노이바이 국제공항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 | |
IATA 코드 | HAN |
ICAO 코드 | VVNB |
종류 | 공공 / 군사 |
소유주-운영자 | 베트남 공항 공사 |
위치 | 하노이 속선 현 푸민 |
허브 공항 | 베트남 항공 VASCO |
포커스 시티 | 해당 없음 |
운영 기반 | 뱀부 에어웨이스 비엣젯 항공 비엣트래블 항공 |
해발 고도 | 12m (39ft) |
활주로 정보 | |
활주로 1 | 11L/29R |
활주로 1 길이 | 3,200m (10,497ft) |
활주로 1 표면 | 콘크리트 |
활주로 2 | 11R/29L |
활주로 2 길이 | 3,800m (12,466ft) |
활주로 2 표면 | 콘크리트 |
통계 (2019년) | |
총 승객 수 | 29,304,631명 (13.1% 증가) |
추가 정보 | |
위치 정보 | 하노이 중심부에서 |
2. 역사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1963년 건설된 푹옌 공군 기지를 기반으로 한다. 1978년 1월 2일, 기존의 자럼 공항 기능을 이전받아 민간 공항으로 공식 개항하였으며, 군사 시설과 함께 사용하는 군민 공용 공항이 되었다. 개항 초기에는 주로 공산권 국가들과 제한적으로 운항했으나, 점차 동남아시아 등으로 노선을 확장했다.
늘어나는 항공 수요를 감당하기 위해 2001년 새로운 터미널 1 빌딩이 완공되어 운영을 시작했다. 2005년에는 싱가포르의 타이거 항공이 취항하며 베트남 최초의 저가 항공사 시대를 열었고, 이후 에어아시아 등 다른 저가 항공사들도 운항을 시작했다. 공항 시설 확충도 이어져 2006년에는 두 번째 활주로(11R/29L)가 개통되었다.
2010년 국영 항공사인 베트남 항공이 항공 동맹 스카이팀에 가입하면서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스카이팀의 주요 허브 공항 중 하나로 자리매김했다. 2014년 12월 31일에는 국제선 전용 터미널 2가 문을 열었다. 이 터미널은 일본의 정부 개발 원조(ODA) 지원으로 건설되었으며, 개장으로 연간 여객 처리 능력이 기존 600만 명에서 1,600만 명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2015년에는 베트남 항공이 에어버스 A350 XWB를 도입하는 등 최신 기종 운항 등 공항 현대화를 지속하고 있다. 현재 공항은 베트남 항공을 비롯해 뱀부 에어웨이스, 제트스타 퍼시픽 항공, 비엣젯 항공 등 다수 항공사의 주요 허브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1963년 ~ 2001년)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1963년 푹옌 공군 기지로 처음 건설되었다. 1978년 1월 2일, 기존의 자럼 공항을 대체하는 민간 공항으로 공식 개항하였으며, 푹옌 공군 기지 바로 남쪽에 위치하여 군사 시설과 함께 사용하는 군민 공용 공항이 되었다.개항 초기에는 중국, 동독, 소련 등 주로 공산주의 국가들과의 국제선 노선만 운항되었다. 베트남 통일 이후에는 동남아시아의 다른 국가들로 노선이 확장되었다. 초기 터미널 시설은 국제선 출발을 위한 터미널 G2(Ga 2 - Ga Quốc tế đivie), 국내선 출발 및 도착을 위한 터미널 G3(Ga 3 - Ga hàng không đường bay trong nướcvie), 국제선 도착을 위한 터미널 G4(Ga 4 - Ga Quốc tế đếnvie) 등 세 개의 작은 건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이 터미널들은 증가하는 항공 교통량을 처리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개조되었으나,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터미널 건설이 추진되었고, 2001년에 터미널 1 빌딩이 완공되어 운영을 시작했다. 기존에 사용되던 작은 터미널 건물들은 이후 철거되어 현재의 화물 터미널 부지로 활용되고 있다.
2. 2. 터미널 1 확장 및 저가 항공사 운항 (2001년 ~ 2014년)
기존 터미널 시설의 노후화와 증가하는 항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터미널 1 빌딩이 건설되어 2001년에 운영을 시작했다. 이로써 기존의 국제선 출발(G2), 국내선(G3), 국제선 도착(G4) 터미널은 철거되었고, 해당 부지는 현재 화물 터미널로 사용되고 있다.2005년, 싱가포르의 저가 항공사인 타이거 항공이 호치민 시와 싱가포르 간 노선 개설에 이어 하노이-싱가포르 노선(주 3회) 운항을 시작하며 베트남 최초의 저가 항공사가 되었다. 이후 말레이시아의 에어아시아도 하노이와 태국 방콕,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를 잇는 직항 노선을 개설하며 저가 항공사 운항에 합류했다.
2006년에는 두 번째 활주로(11R/29L)가 개통되어 공항 수용 능력이 향상되었다. 2007년에는 에어버스 A380 항공기가 처음으로 공항에 착륙했지만, 정기 노선 운항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2010년 중반, 국영 항공사인 베트남 항공이 글로벌 항공 동맹 스카이팀에 가입하면서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스카이팀의 주요 허브 공항 중 하나가 되었다.
2013년에는 룩셈부르크의 화물 항공사 카고룩스 소속의 보잉 747-8F 화물기가 처음으로 도착했다. 2014년에는 일본의 전일본공수(ANA)가 도쿄-하네다 노선에 최신 기종인 보잉 787을 투입하여 첫 정기 상업 운항을 시작했다. 같은 해 11월에는 에어버스 사의 월드 투어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에어버스 A350 기종이 처음으로 공항을 방문했다.
2. 3. 터미널 2 개장 및 현대화 (2015년 ~ 현재)
2014년 12월 31일, 제2 공항 터미널(터미널 2)이 운영을 시작했다. 이 터미널은 국제선 전용으로 건설되었으며, 베트남 정부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맺은 일본의 정부 개발 원조(엔 차관) 지원을 받아 다이세이 건설이 수주하여 2012년에 다이세이・비나코넥스 JV(합작투자)가 착공했다. 2015년 1월 4일에는 완공식이 열렸으며, 이 자리에는 당시 일본 국토교통대신이었던 오타 아키히로와 주 베트남 특명전권대사 후카다 히로시 등이 참석했다. 터미널 2의 개장으로 노이바이 국제공항의 연간 여객 처리 능력은 기존 600만 명에서 1,600만 명으로 크게 확대되었다. 터미널 2의 탑승교는 신메이와 공업의 PAXWAY 제품이 채택되었다.터미널 2 개장 이후 공항 현대화는 계속되었다. 2015년, 국적 항공사인 베트남 항공은 최신 기종인 에어버스 A350-900 XWB를 도입하여 상업용 국내선 운항을 시작했다. 현재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베트남 항공을 비롯하여 저가 항공사인 뱀부 에어웨이스, 제트스타 퍼시픽 항공, 비엣젯 항공의 주요 허브 공항으로 기능한다. 또한, 2010년 베트남 항공이 항공 동맹 스카이팀에 가입한 이후 스카이팀의 주요 허브 공항 역할도 수행한다.
3. 구성
노이바이 국제공항의 면적은 6.5km2로, 떤선녓 국제공항에 이어 베트남에서 두 번째로 큰 공항이다.[103][8]
=== 터미널 ===
==== 제1터미널 (T1) ====
2001년 완공된 제1터미널(T1)은 초기에 국내선과 국제선 항공편을 모두 처리했다. 2013년 말 국내선 터미널 확장 구역(로비 E)이 완공되면서 연간 9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게 되었다.[103][8] 2015년 1월 제2터미널(T2)이 개장하면서 제1터미널은 국내선 전용으로 전환되었다. 이후 연간 1,500만 명의 승객을 처리할 수 있도록 시설 개선 공사가 진행되어 2018년 3월 완료되었다.[9]
==== 제2터미널 (T2) ====
기존 터미널 옆에 새로운 국제선 터미널(T2) 건설은 2012년 3월에 시작되어 2015년 1월 4일에 개장했다. 이 터미널은 연간 1,000만 명의 승객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10] 녓떤 다리를 통해 공항과 하노이 시내를 연결하는 새로운 고속도로와 함께 개통되었다.[2]
총 길이 996m의 터미널 건물은 일본국제협력기구(JICA)의 정부 개발 원조(ODA) 융자 자금으로 건설되었으며, 일본 공항 컨설턴트(Japan Airport Consultants)가 설계하고 타이세이 건설이 시공했다. 총 투자액은 7550억엔 (약 6.4535억달러)이며, 이 중 일본 ODA가 5900억엔 (약 5.0427억달러)를 차지했고 나머지는 베트남 현지 자금으로 충당되었다.[10]
=== 활주로 ===
공항에는 총 2개의 활주로가 있다.
- 11R/29L 활주로: 길이 3800m의 포장 활주로로, CAT II 등급이며 2006년 8월에 개통되었다.
- 11L/29R 활주로: 길이 3200m의 포장 활주로로, CAT I 등급이며 상대적으로 더 오래되었다. 2014년 8월부터 12월까지 4개월간 시설 개선을 위해 폐쇄된 바 있다.
두 활주로 사이의 거리는 250m에 불과하여,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의 안전 규정에 따라 최대 여객 수용 능력이 제한되고 있다.
=== 운영 시스템 ===
2021년 10월, 공항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AMAN/DMAN(Arrival Manager/Departure Manager) 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이 시스템은 각 항공편의 최단 비행 경로를 계산하고 관리하여 공항의 처리 용량과 공역 운영 효율성을 증대시킨다.[11]
4. 항공사 및 운항 노선
베트남의 수도 하노이의 주요 관문인 노이바이 국제공항은 다양한 항공사들이 취항하여 국내선과 국제선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베트남 항공, 비엣젯 항공, 밤부 항공 등 베트남 국적 항공사뿐만 아니라 여러 국가의 외국 항공사들이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등지로 연결되는 노선을 제공한다. 또한, 여러 항공사들이 화물 노선을 운영하여 항공 화물 운송의 중심지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2020년 이후 코로나19 범유행의 영향으로 많은 정기 항공편이 운항 중단되거나 감편, 또는 노선 변경 등의 조정을 겪었다. 아래 목록은 2023년 8월 기준으로 운항 중인 노선이며, 최신 정보는 각 항공사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다.[97][98]
자세한 취항 노선 정보는 아래 국제선, 국내선, 화물 노선 섹션을 참고하라.
4. 1. 국제선
wikitext
4. 2. 국내선
wikitext항공사 | 취항지 |
---|---|
베트남 항공 | 껀터, 꾸이년, 냐트랑, 다낭, 달랏, 동호이, 뚜이호아, 디엔비엔푸, 부온마투옷, 빈, 쁠레이꾸, 츄라이, 푸꾸옥, 호치민, 후에 |
뱀부 에어웨이스 | 꾸이년, 냐트랑, 다낭, 달랏, 호치민, 후에, 부온마투옷, 껀터, 꼰다오 공항, 동호이, 쁠레이꾸, 락자 공항, 뚜이호아 |
비엣젯 항공 | 껀터, 꾸이년, 냐트랑, 달랏, 다낭, 동호이, 뚜이호아, 디엔비엔푸, 부온마투옷, 쁠레이꾸, 츄라이, 푸꾸옥, 호치민, 후에 |
비엣트래블 항공 | 다낭, 호치민, 냐트랑 |
퍼시픽 항공 | 호치민, 다낭 |
4. 3. 화물 노선
항공사 | 도착지 |
---|---|
대한항공 카고 | 서울(인천), 나보이, 다카, 델리[85], 빈, 페낭 |
아시아나 카고 | 서울(인천), 싱가포르, 충칭[76] |
에어인천 | 서울(인천) |
제주항공 카고 | 서울(인천)[83] |
중국남방항공 카고 | 광저우, 호치민 |
SF 항공 | 우한, 항저우[88] |
캐세이퍼시픽 카고 | 홍콩, 다카, 싱가포르, 페낭, 호치민[79] |
홍콩 항공 카고 | 홍콩 |
중화항공 카고 | 타이페이(타오위안), 싱가포르 |
에바 항공 카고 | 타이페이(타오위안)[82] |
MAS카고 | 쿠알라룸푸르 |
가루다 카고 | 자카르타(수카르노 하타) |
카디그 에어 | 자카르타(수카르노 하타), 선전[78] |
K-마일 에어 | 방콕(수완나품), 홍콩[84] |
스파이스익스프레스 | 델리[89] |
에미레이트 스카이카고 | 두바이(알막툼), 오클랜드[80] |
에티하드 카고 | 아부다비, 치타공, 앵커리지[81] |
카타르 항공 카고 | 도하[87] |
터키 카고 | 델리, 이스탄불, 테헤란(이맘 호메이니) |
투르크메니스탄 항공 | 아슈하바트[90] |
DHL 항공 (운영: DHL 에어 UK) | 라이프치히, 마나마, 선전, 이스트 미들랜드 |
카고룩스 | 룩셈부르크 시티, 쿠웨이트 시티, 홍콩 |
루프트한자 카고 | 뭄바이, 프랑크푸르트[86] |
에어브리지카고 | 앵커리지, 홍콩,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타이페이(타오위안) (모두 운항 중단) |
아에로트랜스카고 | 델리, 두바이(알막툼), 홍콩[75] |
아틀라스 항공 | 델리, 서울(인천), 싱가포르, 타이페이(타오위안), 홍콩[77] |
페덱스 익스프레스 | 광저우, 호치민 |
UPS 항공 | 루이빌, 싱가포르, 앵커리지, 홍콩 |
롱하오 항공 | 정저우 |
5. 교통
노이바이 국제공항에서 하노이 시내로 이동하거나 공항을 경유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공항 출구 오른쪽에는 택시, 미니버스, 시내버스 정류장이 마련되어 있다.[99] 차량 호출 서비스인 Grab도 이용 가능하다. 각 교통수단별 상세 정보는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제선 환승의 경우, 일반적으로 보안 구역을 벗어나지 않는다면 비자 없이 가능하다. 비엣젯 에어와 같은 일부 저가 항공사는 보안 구역 내에서 환승객을 위한 탑승권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한다.
향후 하노이 도시 철도 2호선과 6호선이 공항까지 연결될 계획이다.
5. 1. 택시
공항 출구 오른쪽에 택시 정류장이 있다.[99] 도심과 공항을 연결하는 공항 택시가 운행되며, 요금은 고정되어 있다. 승용차는 16만베트남 동 (약 10 USD), SUV는 19만베트남 동 (약 12 USD) 수준이며, 이 요금에는 통행료가 포함되어 있다. 하지만 택시에 탑승하기 전에 요금과 통행료 포함 여부를 다시 한번 확인하는 것이 좋다. 택시 한 대에는 보통 4명까지 탈 수 있으며, 시내까지는 약 30분에서 45분이 소요된다.택시 이용 시 공항 주변의 호객 행위에 주의해야 한다. 일부 기사들이 바가지 요금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며, 베트남 동(VND)으로만 지불을 요구할 수도 있다. 요금 흥정이 쉽지 않고, 문제가 발생했을 때 현지 경찰의 적극적인 도움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사전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택시 외에도 차량 호출 서비스인 Grab을 이용할 수 있다.
5. 2. 미니버스
시내 각지를 연결하는 미니버스가 있으며, 공항 출구 오른쪽에 정류장이 있다. 미니버스는 비행기 도착 시간에 맞춰 공항 청사 밖에서 대기하며, 승객이 모두 차야 출발한다. 정해진 출발 시간은 없다.요금은 베트남 현지인은 2.2만베트남 동, 외국인은 3.2만베트남 동 (약 2USD)이다.
주요 항공사별 미니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운행 간격은 약 45분이다.
항공사 | 종점 | 비고 |
---|---|---|
베트남 항공 | 1 P. 꽝쭝, 쩐흥다오, 호안끼엠 (호안끼엠 호수 부근) | 종점에서 하노이 구시가지까지 쎄옴(오토바이 택시)으로 약 5천베트남 동 소요. |
비엣젯 에어[102] | 67 P. 쩐년똥, 레다이한 |
5. 3. 시내버스
하노이 시영 버스 07번(공항-낌마 버스터미널)과 17번(공항-E1.3 Điểm trung chuyển Long Biên|롱비엔 버스 터미널 부근vi)이 노이바이 국제공항과 하노이 시 중심부를 연결한다.[99] 버스 정류장은 터미널 출구 오른쪽에 바로 위치하고 있다. 버스 요금은 1인당 5000VND이며, 운행 시간은 오전 5시부터 오후 10시까지이다. 시내까지는 노선에 따라 약 60분에서 90분 정도 소요된다.노선 번호 | 주요 경유지 / 방면 |
---|---|
7 | 미딩, 까우저이 버스터미널 방면 |
17 | 롱비엔 방면 |
68 | 낌마, 린랑, 하동 방면[100] |
86 (86CT) | 호안끼엠 호수, 하노이역 방면[100][101] |
90 | 낌마, 깟린역 방면 |
109 | 미딩 방면 |
17번 버스의 종점인 E1.3 Điểm trung chuyển Long Biên|롱비엔 버스 터미널 부근vi에서 내려 구시가지까지는 쎄옴으로 갈 수 있다.
5. 4. 철도
하노이 메트로 2호선, 6호선이 건설될 계획이 있다.6. 통계
(내용 없음)
6. 1. 국제선 노선 순위
순위 | 목적지 | 주간 운항 횟수 |
---|---|---|
1 | -- 서울-인천 | 108 |
2 | -- 싱가포르 | 75 |
3 | -- 방콕 (돈므앙, 수완나품) | 64 |
4 | -- 타이베이(타오위안) | 46 |
5 | -- 쿠알라룸푸르 | 44 |
6 | -- 도쿄 (하네다, 나리타) | 42 |
7 | -- 광저우 | 32 |
8 | -- 홍콩 | 31 |
9 | -- 부산 | 28 |
10 | -- 시엠립 | 19 |
6. 2. 국내선 노선 순위
wikitext
6. 3. 연도별 운영 통계
(명)증감 (%)
(톤)
증감 (%)
운항 횟수
증감 (%)